
서론
도심 한복판에서 만나는 천연 동굴. 강원도 동해시 천곡동에 위치한 천곡 황금박쥐동굴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시내 중심에 위치한 석회암 동굴로, 놀라운 지질 형성과 멸종위기종 황금박쥐의 서식처로서 주목받고 있는 장소입니다. 비교적 짧은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내부에는 다양한 석회 생성물과 생태적 이야기가 숨어 있으며, 지질과 생태, 교육과 보존을 모두 아우르는 동굴로 평가받습니다.
천곡황금박쥐동굴의 기본 정보
- 위치: 강원도 동해시 동해대로 5420 일원
- 형태: 자연 석회암 용식 동굴
- 길이: 전체 약 1,510m (관람 가능 구간 약 810m)
- 형성 시기: 약 4억 년 전 고생대 데본기
- 지정 현황: 천연기념물 제178호 (1991년 지정)
천곡황금박쥐동굴의 형성과 지질학적 특징

천곡동굴은 고생대 데본기에 생성된 석회암 지층이 지하수의 용식 작용을 거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수평형 동굴입니다.
전체적으로 복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종유석, 석순, 석주, 커튼형 석회막 등 다양한 동굴 생성물이 잘 발달해 있습니다.
동굴 내부에는 물이 흐르던 흔적과 석회 침전물이 층층이 쌓인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어, 석회암의 용해-재침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교육적 현장이기도 합니다.
또한 천곡동굴은 탄산칼슘의 순도와 형태에 따라 생성물이 다양한 색과 광택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어, 방문객들이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지질학의 교과서’로 불립니다.
특히 광물학적으로 흥미로운 점은, 동굴 내부 석회 침전층에서 드물게 형성되는 아라고나이트(aragonite) 구조가 보고된 바 있다는 점입니다.
아라고나이트는 방사형 섬유 형태를 가지며, 일반적인 석회석 구성 광물인 칼사이트(calcite)와는 결정 구조가 달라 과학적으로도 가치가 높습니다.
황금박쥐와 생태적 가치
천곡동굴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황금박쥐(긴귀박쥐)가 서식하는 동굴로 알려져 있으며, 동굴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박쥐는 밤에 활동하며 곤충을 포식하는 생태계 내 중요한 종으로, 동굴 내부의 일정한 온도와 습도 덕분에 안정적으로 번식할 수 있습니다.
- 연중 평균 온도: 약 10~14℃
- 주요 서식 생물: 박쥐류, 동굴절지류, 곰팡이류, 이끼류 등
- 서식지 보호를 위한 조명 제한 및 출입 통제 구역 운영
황금박쥐는 한반도 내에서도 극히 드물게 발견되는 종으로, 특히 날개막에 금빛 광택이 도는 독특한 외형을 지녀 '황금박쥐'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이 종은 한 번에 한 마리만 출산하며, 낮은 번식률로 인해 개체 수 보전이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됩니다.
또한 천곡동굴은 도심 속 자연 생태계의 보존 사례로서, 도로와 건물에 둘러싸인 환경에서도 서식지를 잃지 않고 공존하는 생물 다양성의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탐방 및 교육적 활용
천곡황금박쥐동굴은 접근성과 교육적 가치 면에서 매우 우수한 장소입니다. 동해시 중심부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하며, 동굴 내부는 안전한 데크 및 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탐방할 수 있습니다.
- 해설 프로그램 운영: 지질 및 생태에 대한 전문가 해설
- 지질전시관 병설: 동해 지역의 지질 및 암석에 대한 전시와 체험 공간
- 도심 속 과학교육장: 학생 견학, 생태 체험학습 장소로 인기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동굴 내부는 얼마나 시원한가요?
A1. 연중 10~14℃를 유지하여 여름철에도 매우 시원합니다.
Q2. 황금박쥐를 직접 볼 수 있나요?
A2. 관람 구역에서는 볼 수 없으며, 보호구역은 비공개로 운영됩니다.
Q3. 휠체어나 유모차 출입이 가능한가요?
A3. 일부 구간은 경사가 있으나, 보행이 가능한 안전한 데크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Q4. 천곡동굴은 다른 동굴과 무엇이 다른가요?
A4. 도시 중심에 위치한 천연 석회암 동굴로는 국내 유일하며, 황금박쥐의 서식지이자 지질·생태적 학습 장소로서 희소성을 가집니다.
결론
천곡황금박쥐동굴은 도심 속 천연동굴이라는 희소성, 지질학적 가치, 멸종위기종 서식지로서의 생태적 중요성까지 모두 갖춘 명소입니다. 과학 교육과 자연 보존,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도 활용되는 이 동굴은, 대한민국 동굴 탐방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다음편 보러가기: 강원도 대이동굴과 화암동
참고 및 추천 읽을거리